📌 1일차(21.06.28)
- 수업내용
- 교육과정의 목표: 웹 개발자 역량 습득
- 웹 개발자의 진로: SI/SM, 스타트업, 서비스, 공사 등
- 소프트웨어 개요
- System S/W, Application S/W
- Standalone, Client/Server, Web Application
- Web application 구성 요소: Java App, HTML/CSS/JavaScript
- Back-end 개발: Java Application을 작성할 때 사용되는 기술 개요
- Front-end 개발: HTML/CSS/JavaScript 기술 개요
- 개발 학습 도구 준비
- WebEx 온라인 화상 통신 설치
- github.com 계정 생성
- github.com에 개인 저장소 생성
- 강사의 저장소 가져오기
- 저장소에 추가된 파일 가져오기
- 공부하면서 이해가 안되었거나 실수한 부분 정리
- git pull할 때 해당 directory에 가지 않고 pull했더니 error발생
- git push할 때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enjoy8939@naver.com" (github email)
- git config --global.user.name "minsungbyun"(github name) 하지 않고 commit
- git add . 는 local에 백업되었다는 뜻이다. remote에는 올라가지 않음.
- commit message는 최대한 상세하게 적는다.
- git clone할 때 git clone "url"
- token 설정 & 사용
- root directory 설정 & 즐겨찾기
- 해결방법
- 항상 받아오고자 하는 repo.명을 잘 기억하자. (어느 directory에 들어가서 가져올건지 확인!)
- user.email과 user.name은 한 번만 설정하면 다음 번에는 하지 않아도 된다.
- url = https://github.com/minsungbyun/bitcamp-study(repo. name)
- token은 email에 저장해놓고 확인한다. (email은 기록에 남기 때문)
- root directory는 보통 C:\Users\minsung(본인경로)에서 git directory를 생성하여 작업한다.
- 느낀점
- git의 작동원리에 대해 궁금했는데 실습하게 되어서 유용한 시간이였다. (*****)
- token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. (통행권)
- 앞으로의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알 수 있었다.
- 강사님이 매우 열정적이다 passion
- git code
//최초 1회 수행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enjoy8939@naver.com"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minsungbyun"
//현재폴더 및 하위폴더의 백업
git add .
//로컬저장소 백업
git commit -m "first commit"
//원격저장소 백업
git push
id : user.name
pwd : token
//가져오기(복제)
git clone url
git pull
📌 2일차(21.06.29)
- git 저장소 다루기
- git 서버 저장소를 로컬로 복제
- 작업 파일을 로컬 저장소에 백업
- 로컬 저장소의 내용을 서버 저장소에 업로드
- 서버 저장소의 변경 내용을 로컬 저장소로 가져오기
- 프로그램 만들고 실행하기
- VSCode 편집기 설치
- 컴파일 방식
- mingw64 윈도우 gcc 컴파일 설치
- C 언어로 "Hello, world!" 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만들기
- 소스와 기계어, 컴파일, 컴파일러의 관계
- 기계어란?
- CPU instruction set
- 기계어와 CPU의 관계
- 기계어와 OS의 관계
- 인터프리터 방식
- node.js 자바스크립트 인터프리터 설치
- JavaScript 언어로 "Hello, world!" 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만들기
- 공부하면서 이해가 안되었거나 실수한 부분 정리
- git clone 할 때 현재
directory
를 확인해라!
- 실행이 되지 않는다면
오타를 확인
해라
- github를
협업
할 때 어떻게 사용하는가? (여러명이 동시에 개발할 때)
commit
하는 규칙이 있는가?
남의 코드를 언제 pull하는가?
- 두 개발자의 작업이 연관되어 있다면?
- 두 개발자의 작업이 독립적이라면?
- git push 인증시 token 복사 잘 할것
- 해결방법
경험
을 많이 해봐야 할 것 같다.
- 타자를 칠 때
오타
를 줄일 수 있도록 인지해야겠다.
- 느낀점
기계어
가 작동하는 원리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.
호환성(compatible)
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.
- 앞으로 어떤 과정을 듣게될지 맛보기가 되어서 좋았다.
- 새로 알게 된 개념
- Context -> 상황
- Context menu(상황에 맞는 메뉴) -> 오른쪽 마우스 클릭
- README.md = 현재 폴더가 무엇을 나타내는지 간략하게 설명
- 왜 README는 대문자로 쓸까?
- 리눅스에서는 대문자가 소문자보다 먼저 위치한다.
(전통)
- .git -> local repo.
절대 지우면 안됨
!!
- 지우게 되면 git을 사용하는 의미가 없다.
- git은 사용자의 모든 행위를 기억하고 백업한다.
운영체제가 다르고 cpu가 같으면?
운영체제가 같고 cpu가 다르면?
📌 3일차(21.06.30)
- 프로그래밍 도구 준비(계속)
- Java 11 JDK 설치
- JAVA_HOME 환경 변수 설정
- PATH 환경 변수 설정
- 프로그램 만들고 실행하기(계속)
- 컴파일 방식과 인터프리터 방식 비교
- 자바의 프로그래밍 방식 소개
- 자바 애플리케이션 프로젝트 폴더 준비
- 애플리케이션과 프로젝트의 관계
- git 저장소에서 프로젝트 관리하기
- 1단계: 소스파일과 .class 파일을 구분하지 않는다.
- 2단계: src 폴더와 bin 폴더를 사용하여 소스 파일과 .class 파일을 분리한다.
- 3단계: Maven 프로젝트 표준 디렉토리 구조
- 4단계: git 저장소에 여러 개의 프로젝트 두기
- 수업 자료 준비하기
- 자바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 예제
- 개발 도구 설정 및 사용 안내서
- 서블릿/JSP 예제
- Spring 프레임워크 예제
- 미니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단계별 구현 예제
- 공부하면서 이해가 안되었거나 실수한 부분 정리
- cmd에서
git pull
할 때 해당 repo.에 가지않고 git directory에서 git pull을 하였다.
- compile시 저장을 누르지 않았다.
- 해결방법
- 어느 repo.에 있는 것을 가져올지 파악한다.
- 느낀점
- 타자연습은 매일매일 해야한다.
- 꼼꼼함이 필요하다.
- 새로 알게 된 개념
- Naver D2Coding Font
.gitignore
는 백업에서 제외할 대상을 지정한다.
- *.class , *.exe ....
- 컴파일 된 파일은 넘길 필요 없겠죠?
- 라즈베리파이
- REST API
- Javascript는 산출물을 납품할 때 소스코드를 제공해야함(인터프리터 방식)
- 실무에서는 소스코드를 직접 주지 않는다.
- 중요한 부분을 js로 짜지 않겠죠?
- 윈도우
환경변수
설정 (제일 위 부터 읽는다)
- 어떤 프로그램이던 명령창에서 실행할 때 도움말을 보고 어떤 값을 넣어야 하는지 확인한다.
- 그냥 배우는 것이 아닌 왜 사용하는가를 고민하라 ->
비용절감, 유지보수(관리의 용이성)
Project (프로젝트를 왜 만들어야 하는가?)
- 작업 단위
- 시작과 끝이 존재한다.
- 의존관계가 있는지? 없는지?
- 이 세상의 모든것은 프로젝트로 돌아간다.
- 빈 폴더는 백업이 되지 않는다.
// 컴파일
./repo./javac -encoding utf-8 -d bin/main src/main/java/Hello.java
// 실행
./repo./java -cp bin/main Hello