📌 객체를 사용한다는 의미
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클래스와의 관계를 잘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.
✔️ 객체를 만든다는 것을 꼭 인스턴스를 만드는 것이라는 생각을 하지말자. 이는 우리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상황과 같다.
손좀 봐야겠다
1. 손이 어떻게 생겼는지 봐야겠다.
2. 혼나다라는 뜻으로 그 놈 손 좀 봐야겠다는 의미
✔️ 객체도 상황에 따라서 나뉘어진다.
인스턴스를 만든다.
클래스를 사용한다. 등등..
✔️ 객체를 사용한다는 의미는 클래스를 사용함으로써 클래스와의 관계를 통해 메서드를 호출하겠다는 의미이며 즉 메서드 호출에 관한 내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
📌 Caller & Callee
프로그램을 짜다가 인터페이스를 만나게 되면,
- ✔️ 누가 호출자(caller)이고 누가 피호출자(callee)인지 확인하라.
- ✔️ 본인이 맡은 개발 일이 호출자를 만드는 것인지 아니면 피호출자를 만드는 것인지 확인하라.
📌 인터페이스 vs 클래스 vs 추상클래스
🟣 인터페이스 : 인터페이스가 있다는 건 프로그램이 다 짜져있다는 것이다. 중간중간 비어있는 부분을 채우는 건 내 몫 (규칙에 따라 클래스를 만들어서 채운다) 구현을 하는게 목표가 아니라 규칙을 정하는 것이 목표다
🟣 클래스 : 자기가 필요해서 만든거 상속받아서 알아서 기능확장해
🟣 추상클래스 : 다른 사람이 쓸 걸 대비해서 만들었다. 어느정도 완성했으니까 알아서 골라써 미완성 된 기능을 완성하여 만든다. 내가 할 일은 미완의 객체를 완성시켜서 쓰면 된다.
'Language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🧲 Collection : ArrayList 맛보기 (0) | 2021.08.24 |
---|---|
📜 제네릭(Generic) : 타입을 미리 결정하다 (0) | 2021.08.20 |
🖍️ 자바 : About Interface Ⅰ (0) | 2021.08.13 |
📙 Template Method Pattern (0) | 2021.08.11 |
🖨️ Shallow Copy & Deep Copy (0) | 2021.08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