📌 38일차(2021-08-19,목)
- 프로젝트 개발 방법론
- 실전 프로젝트(eomcs-java-project)
- 10-i. 리팩토링 : 추상 클래스 적용
- 11-a. 자료 구조 다루기 : 스택 구현과 사용
📌 39일차(2021-08-20,금)
- 실전 프로젝트(eomcs-java-project)
- 11-b. 자료 구조 다루기 : 리팩토링 - 클래스 및 패키지 이동
- 11-c. 자료 구조 다루기 : 제네릭이 필요한 이유와 사용법
- 11-d. 자료 구조 다루기 : 자바 컬렉션 API 사용하기
- 프로젝트 개발 방법론
📌 알게 된 점
- 처음부터 잘 짜려고 과도한 고민을하지마라 힘들어서 지치지말고
우리에겐 리팩토링이 있다. 유지보수하기 쉽게 끊임없이 개선하고 구조를 바꾼다.
- 최상위 도메인명 / 회사 도메인명 / 서비스명,제품명 / 역할명 , 특정제품이나 서비스에 종속되지 않고 공통으로 이용하는 클래스
- 특정 프로젝트에서만 사용할 클래스가 아니라 여러 프로젝트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클래스는 util 패키지로 옮긴다.
- 캡슐화 - 코드를 감추고 그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메서드를 제공
- 의미를 말할 수 있어야한다. 코드에 대한 이해가 필요 잘하는 사람들은 마치 하나의 소설처럼읽는다.
- if (arr.length >= this.size)
- 파라미터로 받은 배열의 크기가 현재 들어있는 항목의 갯수를 담을만큼 충분히 크다면
- model = 생각한 바를 글과 그림으로 표현한 것